본문 바로가기
daily

사법 통역사 전공자 2주 인강 독학 후기

by 제이씨앤드컴퍼니 2020. 10. 3.
728x90

사법 통역사 시험 후기 

 

시험 회차: 제12회(9월 자 시험)

공부 기간: 2주

인강: 한국자격교육협회

교재: 법학개론 직업윤리 사법통역 외국어

합격점수: 가채점 95점(합격점수 발표 없음, 합격 통과&미통과)

공부 방법: 인강 통해 이론 1 회독하고 사법 통역사 자격시험대비 출제예상문제 및  법정 통역인 편람 중국어 정리

 

 

사법통역사교재
사법통역사교재

 

사법통역사 시험은?

 

한국자격교육협회에서 주최하는 사법통역 관련 민간자격증

  

사법통역사 시험은 3개 과목으로 되어 있답니다.

-법학개론(객관식 25문제)

-작업 윤리(객관식 25문제)

-해당 외국어 번역(서술형 25문제)

 

오픈북 시험

 

사법 통역사 접수방법

한국자격교육협회 홈페이지: http://www.kela.or.kr/

회원가입-로그인-온라인 원서접수-원서 기재(증명사진첨부)-접수하기

시험시간: 총 200분

시험과목

-법학개론(객관식 25문제)

-작업 윤리(객관식 25문제)

-해당 외국어 번역(서술형 25문제)

원서 접수비: 50000원

 

사법 통역사 시험 준비한 동기 

 

중국 대학교 법학과를 다니고,

고등학교생활- 관광통역봉사

대학생활- 대학생 영중한 B2B통역팀 운영, 신문 번역, 비즈니스 통역, 무역분쟁 통역, 고위급 통역 등 다양한 통역 경험을 해서 사법통역도 하고 싶은 생각이 있었다. 

 

사법 통역사 시험을 준비하게 된 가장 중요한 동기는 대학교 2학년 때 형사소송법 교수님께서 국제적 교류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공정사회 및 인권 보호를 위해 사법절차에서 통역인의 중요성을 강조하시며 실제로 사법절차에서 통역인의 통역이 수사와 재판 과정, 결과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말씀하셨고,

 

나는 한국인으로서 중국대학교 법학과에 다니고 있으며 한국 변호사 시장은 이미 포화 상태이기 때문에 사법 통역사의 필요성을 느껴 사법통역사 시험을 준비하려는 마음을 갖고 있었습니다. 

 (요즘 로스쿨 학생들의 외국어 능력이 뛰어나고, 최근엔 사법고시 패스한 판사 검사 변호사분들도 중국어 공부를 열심히 하고 계셔서 더 열심히 노력 중입니다.)

 

대학교 4년 동안 1년에 한 번 혹은 두 번 정도만 한국에 왔기 때문에 사법 통역사, 법정통역인 인증시험에 관해 정보가 별로 없었고,,, 대학교 선배가 사법통역사 시험을 보고 나서 시험에 관한 정보를 받았지만 시험을 볼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지만

 

코로나 상황으로 한국에서 잠시 생활하게 되어 시험을 봤다.

 

공부 난이도

법학개론 인강 - 대학교 1학년 전공 난이도보다 쉽다.

직무교육 인강 - 직무교육 관해서 처음 공부했기 때문에 공부할 필요성은 있다.

사법통역 외국어 - 사법통역 외국어는 비전공자가 공부했을 때 어느 정도 난이도가 있다.

 

 

사법통역사 기출예상문제집
법정 통역인 편람(중국어)

 

시험을 처음 보는 분들은 사법통역 외국어 때문에 걱정을 할 수 도 있는데,,,

오픈북 시험이라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만약 사법 통역사 시험이 오픈북 시험이 아니라면

내 개인적인 판단은 열심히 공부해야 사법통역 외국어 부분에서 막히는 부분이 없을 것 같다.

 

마무리

 

앞에서 강조했듯이 국제적 교류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공정사회 및 인권 보호를 위해 사법절차에서 통역인의 역할이 아주 중요하고. 형사사법절차의 관점에서 보면 수사기관에 조사과정에서 잘못된 통역이 엉뚱한 '조사내용'이 작성될 가능성이 크다.

 

재판절차에서의 통역인에 따른 오역, 통역인이 사건 내용을 전혀 모르거나, 법적 지식이 부족한 상황에서 비롯된 오역이 당사자들의 법익을 크게 훼손할 수 있다.

 

현재 법원에서는 정확한 법정 소통 능력을 평가하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그 예로 법정 통역인 인증시험을 보고 있다.

 

법원에서의 노력과는 별도로 사법 통역사가 사법통역을 실제로 하거나 준비한다면,,

수사절차와 재판절차의 통합적인 이해능력과, 통합적인 외국어 능력(회화, 독회, 쓰기), 문자 그대로 통역하는 능력(수사절차와 재판절차에서 통역인의 주관적인 통역하지 않는 능력 가장 중요한)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자격을 갖추기 위해  한국인 학생으로 중국 법학과에서 공부를 했지만,,, 실제로 사법통역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경찰 외사사건 통역에서부터 경험을 쌓아 이주민 외국인이 수사와 재판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받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려고 한다.

 

 

댓글